전기세 조회 한전 전기요금 조회하기

 여름철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는 시기에는 누진세로 인해 요금이 예상보다 크게 나올 수 있어, 미리 확인하고 관리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합니다.

우리집 전기세 조회하기👆


전기세 조회하기

오늘은 한전 전기세 조회 방법부터 전기요금 계산법, 계량기 확인법, 절약 팁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.


1. 전기세 조회하는 방법

전기요금을 확인하는 방법은 크게 PC(사이버지점)모바일 앱(한전 ON) 두 가지가 있습니다.

📌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(사이버지점)

  • 한전 공식 홈페이지 접속

  • 회원가입 및 로그인

  • 전기요금 조회 메뉴에서 청구서, 납부 내역, 사용 패턴 확인 가능

  • 전자청구서 신청 시 종이 고지서 대신 이메일·문자로 수령

    한전 공식 홈페이지👆


📌 한전 ON 모바일 앱

  • 구글 플레이스토어/앱스토어에서 ‘한전 ON’ 설치

  • 고객번호 + 이름 + 주소 입력만으로 1회 조회 가능

  • 로그인 등록 시, 다음 접속부터 바로 요금 확인

  • 실시간 사용량, 예상 요금, 미납 여부까지 확인 가능

  • 월별·계절별 사용 패턴 분석 + 사용량 초과 알림 기능 제공

    한전ON 앱 다운로드👆

2. 전기요금 납부 방법

조회 후 바로 납부까지 가능합니다.

  • 자동이체: 계좌·카드로 매월 자동 결제

  • 인터넷 지로: 금융결제원 지로 시스템 이용

  • 한전 ON / 사이버지점 카드 결제: 포인트 결제 가능



3. 전기세 계산 방법

전기요금은 기본요금 + 전력량 요금 + 부가요금으로 구성됩니다.

  • 기본요금

    • 0~200kWh: 910원

    • 201~400kWh: 1,600원

    • 401kWh 이상: 7,300원

  • 전력량 요금 (하절기 기준, 저압)

    • 1~300kWh: kWh당 120원

    • 301~450kWh: kWh당 214.6원

    • 451kWh 이상: kWh당 307.3원

  • 기타 요금

    • 기후환경요금: kWh당 9원

    • 연료비 조정액: kWh당 5원

    • 부가세 10% + 전력산업기반기금 3.2%

👉 누진제는 전체 사용량에 최고 단가가 일괄 적용되는 방식이 아니라, 구간별 단계요금을 적용하는 계단식 부과 방식입니다.

전기세 계산해보기👆

4. 전기세 계산 예시 (350kWh 사용 시)

  1. 기본요금: 1,600원

  2. 전력량 요금:

    • 1~300kWh = 36,000원

    • 301~350kWh = 10,730원
      → 합계 = 46,730원

  3. 기후환경요금 = 3,150원

  4. 연료비 조정액 = 1,750원

  5. 부가세(10%) + 전력산업기반기금(3.2%) = 약 7,000원
    👉 최종 전기세: 약 60,300원


5. 전기 계량기로 직접 확인하기

전기세를 미리 계산하려면 사용량 확인이 필요합니다.

  • 기계식 계량기: 이번 달 지침 - 지난 달 지침 = 사용량

  • 전자식 계량기: ‘7번’ = 누적 사용량, ‘4번’ = 전월 사용량 → 두 수치 차이로 이번 달 사용량 계산

아파트는 층별 계량실, 빌라는 외벽, 단독주택은 베란다 등에 설치된 경우가 많습니다.


6. 전기세 절약 꿀팁

  • 한전 ON 앱에서 사용량 초과 알림 설정

  • 월별·계절별 사용량 비교로 절약 가능성 체크

  • 전력 소모가 큰 가전제품 사용 시간 조절

  •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활용


마무리

전기세는 단순히 청구서를 받아보고 납부하는 수준에서 끝나면 손해입니다.
사전 조회와 계산 습관을 통해 누진세 진입 전 사용량을 조절하면 불필요한 요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👉 이번 달부터는 한전 ON 앱과 계량기 확인을 통해 내 전기요금을 스스로 체크해보세요. 작은 관심이 곧 가계 지출 절감으로 이어집니다.


함께보면 좋은 정보





다음 이전
>